본문으로 바로가기

[Java] 개발환경 구축하기

category Language/Java 2021. 6. 8. 10:58

1. Java SE

Java SE 다운로드

http://www.oracle.com/technetwork/java/javase/downloads/index.html


Java SE - Downloads | Oracle Technology Network | Oracle
www.oracle.com

JDK & JRE?

JDK = JAVA DEVELOPEMENT KIT

JRE = JAVA RUNTIME ENVIRONMENT



- J2SE(Java2 Standard Edition)

 : 가장 기본적인 환경 ( I/O, JDBC, Network, Thread-동시접속 처리, GUI ) 

- J2EE(Java2 Enterprise Edition) 

: 웹을 만드는 환경 (JSP, Servlet), EJB

- J2ME(Java2 Mobile Edition)

: 핸드폰을 위한 환경이었지만 안드로이드가 나오면서 하향세



- 설치 후 경로확인

- bin폴더에 실행파일들 확인

- 컴파일러(compiler) : javac 
  인터프리터(interpreter) : java


자바개발환경 구축 시나리오

 

1. JDK 다운로드

2. JDK 설치

- 자바 플랫폼이 구축

3. 환경셋팅 (환경변수설정)

- JAVA_HOME

jdk가 설치되어 있는 폴더

- path

자바 명령어를 어디서든(컴퓨터 내부 폴더에서)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

 

- CLASSPATH

- 환경 셋팅확인

4. 메모장 or EDITPLUS or Eclipse로 자바 프로그램 작성

5. 실행


Java 플랫폼 개요

 

          JVM          +              API

  Java Virtual Machine   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

     = 자바 가상 머신         = 자바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

 

1. JVM

2. API

- 내가 원래 개발하려고 하는 프로그램
  즉, 비지니스 로직(Business Logic)을 지켜주기 위해 제공되는 라이브러리 = API


자바 소스 코드 작성부터 실행까지

 

1. 자바 소스코드 작성

- .java 파일 생성

 

2. 컴파일

- javac 자바소스파일.java 로 실행

 

3. 바이트코드 생성 = 클래스파일 = JVM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

- 소스파일명.class 파일 생성

 

4. 실행 = 인터프리터

- java 클래스파일명(바이트코드파일명) 으로 실행

 

5. 결과 콘솔에서 확인

 

2. 컴파일

- javac 자바소스파일.java 로 실행

 

3. 바이트코드 생성 = 클래스파일 = JVM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

- 소스파일명.class 파일 생성

 

4. 실행 = 인터프리터

- java 클래스파일명(바이트코드파일명) 으로 실행

 

5. 결과 콘솔에서 확인


JDK 폴더 파헤치기

- bin : 실행 파일 폴더

- jre : 실행할 때 필요한 파일 폴더

- lib : 자바 플랫폼 운영 시 필요한 파일 폴더

- src.zip : API의 소스파일, 20MB정도의 크기

2. JDK DOCUMENT 다운로드

http://www.oracle.com/technetwork/java/javase/documentation/jdk8-doc-downloads-2133158.html

3. ECLIPSE 다운로드

 

http://www.eclipse.org/downloads/

- 수업에서는 Luna version 사용

- 주의해야할 점

  - java만 사용 가능
 - java & web 모두 사용 가능

 

'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변수의 메모리 구조  (0) 2021.06.08
[Java] 변수  (0) 2021.06.08
[Java] 프로그램 작성하기  (0) 2021.06.08
[Java] Java Doc 파헤치기  (0) 2021.06.08
[Java] 파일 만들기  (0) 2021.06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