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수란?
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상의 공간
변수의 선언
데이터 타입 변수명 ( int number; )
변수의 초기화
- 변수명 = 값 (number = 3)
- 데이터타입 변수명 = 값 (int number = 3)
명명규칙
- 특수문자는 _ 정도만 쓰세요
-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어요
변수의 타입
- 기본형(primitive type) 8가지 : boolean, 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, char
- 참조형(reference type) : 기본형 8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타입
기본형의 리터럴(값)
- 리터럴 : 변수에 할당되는 값
- 자바에서는 변수에 할당되는 값들도 데이터 타입이 존재한다
- int num = 100과 같은 명령문에서 100도 타입이 존재하며, 이러한 일반적인 정수의 기본 타입은 int임
- byte나 short 같이 int보다 작은 값을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인 경우, 최대값을 벗어나지 않으면 상관 없지만 이를 벗어나면 오류가 발생
- long 타입은 정수형 리터럴을 그냥 사용해도 상관 없으나 long 타입이라는 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접미사 "L" 혹은 "l" 사용
- 실수형 리터럴의 기본타입은 double
- float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접미사 "F" 또는 "f"를 사용
- 리터럴 예제
기본형의 형변환
변수나 리터럴을 다른타입으로 변환
자동현변환이 가능한 방향
- byte(1byte) -> short(2byte) -> int(4byte) -> long(8byte) -> float(4byte) -> double(8byte)
- char(2byte) -> int(4byte)
형변환 예제
'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연산자 (0) | 2021.06.08 |
---|---|
[Java] 변수의 메모리 구조 (0) | 2021.06.08 |
[Java] 프로그램 작성하기 (0) | 2021.06.08 |
[Java] Java Doc 파헤치기 (0) | 2021.06.08 |
[Java] 파일 만들기 (0) | 2021.06.08 |